top of page
목회 칼럼
종교개혁은 교회 직분의 개혁입니다 | 목회칼럼 | 하남교회 | 윤길주 목사
16세기 마틴 루터로 시작된 종교개혁은 오랜 세월 이어져온 교회 개혁의 요구가 거대한 시대정신으로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루터는 종교개혁의 선두주자가 아니라 마지막 주자였다고 보는 것이 옳습니다. 루터의 시대에 꽃을 피운 종교개혁은 수많은 개혁자들의 피를 거름으로 삼아 자라온 것입니다. 종교개혁은 교회 직분의 개혁이라 불러도 될 정도로 중세 교회 직분은 타락해 있었습니다. 루터가 자신이 시무하는 교회 문에 내 건 95개조의 반박문은 면죄부 판매가 반성경적 행위임을 지적하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면죄부는 돈을 받고 죄를 사하는 부적이었습니다. 교회에서 행해진 대표적인 미신이 바로 면죄부였습니다. 교회가 면죄부를 판매한 이유는 단순합니다. 돈 때문입니다. 사제들이 면죄부를 팔아 돈을 벌어들여야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들이 돈을 주고 사제직을 샀기 때문입니다. 많은 돈을 들여 사제직을 산 사람들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돈을 끌어
부산하남교회
4일 전2분 분량
교회의 회의들 | 목회칼럼 | 하남교회 | 윤길주 목사
하나님은 교회를 다스릴 때 회의를 통해서 다스립니다. 개인이 모든 권한을 가지고 다스리는 것은 하나님의 방식이 아닙니다. 개인이 아니라 회의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찾아가며 함께 다스리는 것을 하나님은 기뻐하십니다. 개인이 아니라 회의를 통한 다스림은 사도들의 시대에 보편적으로 발견되며, 교회 역사 속에서 유지되고 발전해온 귀한 전통입니다. 부패하고 타락한 교회는 개인에게 모든 권한을 위임했습니다. 이는 매우 위험한 선택이었습니다. 아무리 경건한 사람이라도 죄의 유혹에 흔들릴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지나치게 많은 힘을 가지게 될 경우 더 쉽게 타락하는 경향성이 있다는 것을 알 때 회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됩니다. 1)치리회(교회를 다스리는 회의)의 의의 교회는 정규의 단계를 따른 회의로 말미암아 관리되는데, 이 회를 치리회라 합니다. 각급 치리회는 국법상 시벌하는 권한은 없고 도덕과 영적인 사건에 대하여 교인으로 교회의 법에 순종하게
부산하남교회
10월 18일2분 분량
직분자의 의무 | 목회칼럼 | 하남교회 | 윤길주 목사
공적인 직무에는 의무가 따릅니다. 공적인 직무를 권리 혹은 권력이라 생각하는 경향성이 있지만 이는 오해입니다. 공적인 직무는 의무로 가득 차 있습니다. 공적인 직무에 주어진 권한은 의무를 행하는데 필요한 권한이지,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사용할 수...
부산하남교회
10월 11일2분 분량
주 안에서 명문가를 이루게 하소서 | 목회칼럼 | 하남교회 | 윤길주 목사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 가정을 이룬 사람들이라면 마음속에 가문에 대한 설계가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구체적인 말로 설명한 일이 없을 뿐 대부분의 사람은 자신이 세우고 있는 가문에 대한 설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결혼을 앞둔 젊은이들에게는 한번쯤 시간을...
부산하남교회
10월 11일2분 분량
직분자의 자격 | 목회칼럼 | 하남교회 | 윤길주 목사
성경은 직분자의 자격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디모데전서 3장2~7절이 감독(장로)이 갖추어야 할 자격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어지는 8~13절은 집사의 자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성경이 직분자의 자격을 규정하는 이유는...
부산하남교회
9월 28일2분 분량
하나님께서 교회의 직분자를 세우신 이유| 목회칼럼 | 하남교회 | 윤길주 목사
하나님께서 교회의 직분자를 세우신 이유는 예배소서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예베소서 4장 11~12절이 직분을 주신 이유를 이렇게 기록합니다. "그가 어떤 사람은 사도로 어떤 사람은 선지자로 어떤 사람은 복음 전하는 자로 어떤 사람은 목사와 교사로...
부산하남교회
9월 20일2분 분량
bottom of page



